쇳가루에 비산먼지...인천 사월마을 ‘주거환경 부적합’
관리자 │ 2019-11-20 HIT 1179 |
---|
국립환경과학원, ‘주민건강영향조사 주민설명회’ 개최 주민 우울증·불안증 호소율, 전국 대비 각각 4.3배·2.9배↑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인천시 서구 오류왕길동 소재 사월마을 주민에 대한 건강영향조사를 마무리하고 관련 주민설명회를 19일 저녁 7시 마을 내 왕길교회에서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에는 사월마을 민관 조사협의회 위원, 마을주민, 지자체(인천시, 인천 서구) 및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설명회에서는 그간 진행됐던 연구진(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이관 교수)의 건강영향조사 결과를 주민 등에게 설명하고 참여자들 질의응답 시간도 가졌다. 이번 조사는 사월마을 주민들이 마을 내 무분별하게 들어선 소규모 공장들로 인한 건강영향조사를 청원(2017년 2월)했고 환경보건위원회에서 이를 수용(2017년 7월)함에 따라 추진됐다. 이에 2017년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조사가 진행됐고 환경부, 지자체, 주민대표 및 전문가 등 11명으로 민관 합동조사협의회도 구성(2017년 9월)해 각 조사 과정 및 결과가 공유됐다. 총 52세대, 122명이 거주(올해 6월 기준)하고 있는 사월마을에는 제조업체 122곳(73.9%), 도·소매 17곳(10.3%), 폐기물처리업체 16곳(9.7%) 등 165여곳 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이 중에서 82곳은 망간과 철 등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 취급사업장이며 마을 앞 수도권매립지 수송도로는 버스, 대형트럭 등이 하루 약 1만3000대, 마을 내부도로는 승용차와 소형트럭이 하루 약 700대가 통행하고 있다. 환경오염 조사결과 대기 중 미세먼지, 중금속 등이 인천 다른 주거지역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마을 내 토양 및 주택 침적먼지에서도 중금속이 검출됐다. 지난해 3계절(겨울‧봄‧여름) 각 3일간 측정된 대기 중 미세먼지(PM10) 평균농도(3개 지점)는 55.5㎍/㎥로 같은 날 인근지역 측정망 농도(인천 서구 연희동, 37.1㎍/㎥)보다 1.5배 높았다. 대기 중 중금속 주요 성분인 납(49.4ng/㎥), 망간(106.8ng/㎥), 니켈(13.9ng/㎥), 철(2055.4ng/㎥) 농도는 인근지역(구월동, 연희동) 보다 2~5배 높았으나 국내외 권고치를 초과하지는 않았다. 마을 13개 지점 토양에서 비소(6.8~17.1㎎/㎏), 카드뮴(0.8~1.0㎎/㎏), 니켈(13.7~38.8㎎/㎏), 납(28.6~205.1㎎/㎏) 등이 검출됐으나 토양오염우려기준(1지역)을 초과하지 않았다. ◇ 인천 서구, 난개발 취약 수준 ‘10분위’ 해당 주민 건강조사 결과, 생체 내 유해물질(중금속, 방향족탄화수소류 등)은 일부 항목이 국민 평균보다 높았으나 참고치보다 낮았고 암발생비는 타 지역보다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주민 소변 중 카드뮴(0.76㎍/g-cr.), 수은(0.47㎍/g-cr.),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대사체(2-NAP, 3.80㎍/g-cr.) 및 혈액 중 납(1.82㎍/dL로) 농도는 국민 평균보다 1.1~1.7배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권고치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이었다. 카드뮴 고농도자(6명)에 대한 정밀검진 결과 신장질환, 골다공증 등 이상 소견을 발견하지 못했고 유해물질별 생체 농도 95분위 이상 대상자(28명) 건강검진 결과 특이소견이 없었다.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주민 122명 중 총 15명에서 폐암, 유방암 등이 발생해 8명이 사망했지만 발생된 암 종류가 다양하고 전국대비 암 발생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연구진은 미세먼지 농도가 타지역보다 높은 점, 주·야간 소음도가 높은 점, 우울증과 불안증의 호소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주거환경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전국 개별입지 공장 밀도, 14세 미만 및 65세 이상 취약인구 비율 고려시 인천 서구는 난개발 취약 수준이 가장 위험한 10분위에 해당된다. 마을 내 전체 건물 세부 용도는 제조업소 건물이 59.1%로 가장 많았고 소매점 11.9%, 주택건물 6.7%, 창고 2.8% 등의 순이었다. 마을 모든 주택(52개) 부지경계에서 이틀간 주‧야간 각 2회씩 측정한 소음은 전 지점에서 1회 이상 기준(주간 55dB, 야간 45dB)을 초과했고, 특히 19개 지점은 주·야간 모두 기준을 초과했다. 건강검진 참여자의 우울증 호소율은 24.4%, 불안증 호소율은 16.3%로 전국 대비(우울증 5.6%, 불안증 5.7%) 각각 4.3배, 2.9배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 미국 환경보호청(EPA) ‘환경정의 지수’에 기반한 ‘주거환경 적합성평가’결과, 전체 52세대 중 37세대(71%)가 3등급 이상으로 주거환경이 부적합해 개선 대책이 필요하다고 도출됐다. 주요 환경영향요인(주택-공장 혼재, 노출시간, 미세먼지, 소음)과 생물학적 취약성(연령)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평가한 평가서 1(매우적합)∼4등급(매우 부적합)으로 구분된다. 유승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장은 “이번 조사는 환경으로부터 기인한 삶의 질 관점에서 주거환경 적합성 평가를 시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향후 인천시와 협의해 주민건강 조사 및 주거환경 개선 등 사후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이 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사월마을, 정말 문제없나? 환경오염 시설이 일으키는 국가적 충격은 이미 장점마을 문제로 확연해 졌다. 이번에 주민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한 인천 사월마을을 비롯해 김포 거물대리, 남원 내기마을 등 전국 각지에서 비슷한 위험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고 사실상 국민들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안고 사는 것이다. 장점마을도 관계당국이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빠르게 인지하고 주민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면 이 정도로 일이 커지지 않을 수 있었다. 장점마을 주민들은 2009년 인근 비료공장 금강농산에 연초박이 유입되고부터 지속적으로 발암물질에 시달렸다. 주민들이 두통과 구토 증상을 호소했고 하천에서는 물고기가 집단 폐사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럼에도 금강농산이 2017년 부도 전까지 공장을 계속 가동하면서 그동안 1급 발암물질에 노출된 마을 주민 99명 중 33명이 암 확진을 받았고 결국 17명이 숨졌다. 정부, 지자체, 관련 기업들 모두가 거의 10년 이상을 외면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인천 사월마을 주민건강영향조사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성이 노출되지는 않았지만 향후 정부 차원에서 인천시와 협의해 주민건강 조사 및 주거환경 개선 등 사후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제2, 제3의 장점마을 사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환경오염 시설에 대해 국가가 직접 나서 탄탄한 규제 대책을 만들어야 반복되는 재앙을 막을 수 있다. |
이전글 | “불법 쓰레기산 방지”...폐기물관리법 개정안 국회통과 |
---|---|
다음글 | 서울 미세먼지 50% 국외 유입...“미세먼지 정책 우선순위 바... |